본문 바로가기
뉴스기타/경제

세금계산서 역발행 하는법

by 포인트고 2024. 9. 20.

"이 게시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세금계산서 역발행은 일반적으로 공급받는 자(구매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이는 보통 공급받는 자가 세금계산서 발행을 요청한다거나, 발행 절차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하죠.

 

세금계산서 역발행 절차를 정확하게 수행하려면 아래의 과정을 참고하여 진행해보세요!

 

 

1. 계약 내용 확인

  • 먼저, 공급하는 자(판매자)와 공급받는 자(구매자) 간의 계약이나 거래 조건에서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한 합의가 있는지를 확인해보세요.
  • 세금계산서 역발행이 가능한 조건인지도 확인을 해야 합니다.

2. 세금계산서 발행 요청

  • 공급받는 자가 거래처(판매자)로부터 세금계산서 발행을 요청받았을 때, 역발행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시기와 거래 금액, 세율 등을 명확하게 파악한 후 준비를 합니다.

01

세금계산서 역발행 시 필요한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3.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정보 수집

  • 공급자 정보(판매자): 사업자 등록번호, 상호명, 주소, 대표자명 등
  • 공급받는 자 정보(구매자): 사업자 등록번호, 상호명, 주소, 대표자명 등
  • 거래 내역: 거래 날짜, 공급가액, 부가가치세, 거래 품목 및 수량 등
  • 거래명세서를 통해 거래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스템 접속

  • 세금계산서 역발행을 하려면 국세청 전자세금계산서 시스템[ 홈택스: 바로가기 ]이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대행 서비스(예: 이지스, 더존, 스마트빌 등)에 접속을 합니다.
  •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세금계산서 발행 메뉴로 이동합니다.

 

5. 세금계산서 작성

  • 공급자와 공급받는 자의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 거래 날짜, 공급가액, 부가세, 총 거래 금액을 입력합니다.
  • 품목, 수량, 단가 등의 구체적인 거래 내역도 입력합니다.

6. 세금계산서 역발행

  • 세금계산서 작성이 완료되면 발행 버튼을 눌러 전송합니다.
  • 이때, 역발행은 공급자(판매자) 입장에서 볼 때는 공급받는 자가 세금계산서를 발행해 주는 것이므로, 국세청으로 발행된 세금계산서를 공급자에게도 전송해야 합니다.

7. 발행 내역 확인

  • 세금계산서가 정상적으로 발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홈택스나 세금계산서 발행 대행 시스템에서 발행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필요 시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공급자에게 확인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8. 발행 후 관리

  • 세금계산서 발행이 완료된 후, 세금계산서 발행 내역을 정리하고 보관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보통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보관이 되나, 필요 시 출력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겠죠.
  • 국세청 홈택스에서 세금계산서 발행 내역을 조회하고, 장부와 대조하여 정확하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012

추가 유의사항

  • 세금계산서는 거래 시점과 부가세 신고 시기가 매우 중요하므로 발행 시기를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 세금계산서 발행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수정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야 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세금계산서 역발행은 공급자와의 합의가 있는 경우에만 진행하며,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정확히 작성하고 발행해야 합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 차곡차곡 따라하기! - [ 바로가기 ]

 

반응형